[굿모닝경제 9주년 특별기획] AI 혁명…기회인가, 위기인가
AI의 등장으로 IT·통신·반도체 등 산업 판도 변화
불꽃 튀는 글로벌 IT 시장 속 국내 업체 '한국형 AI'로 돌파
통신업계, 자사 AI 활용·투자 및 협력으로 성장 동력 마련
AI 바람으로 HBM 반도체 훈풍…4차 산업시대 주도

인공지능(AI)은 4차 산업혁명의 완성이다. 1956년 미국에서 ‘사람의 지능을 닮은 기계’로 등장한 AI는 67년이 지난 지금 모든 것의 중심에 섰다. 로봇, 자율주행, 가상현실, 3D 프린팅, 빅데이터 등 4차 산업은 AI로 귀결된다. 지난해 11월 챗GPT의 등장으로 우리는 ‘초거대 AI’ 시대에 진입했다. AI는 거스를 수 없는 혁명이다. 인류의 삶을 바꿀 거대한 파도다.

AI는 기회이자 위기다. 굿모닝경제는 창간 9주년을 맞아 경제, 사회, 문화, 법제도 등 우리 삶을 송두리째 바꾸고 있는 AI를 집중 조명한다. 초거대 AI 시대, 굿모닝경제는 선두에 서 AI에 의해 한 단계 도약할 한국 경제의 순간을 함께 하고자 한다. [편집자주]

ㅗKT관계자가 AI 사업 기자 간담회에서 AI를 기반으로 작동하는 음식 서비스 로봇을 시연해 보이고 있다. [사진=KT]
ㅗKT관계자가 AI 사업 기자 간담회에서 AI를 기반으로 작동하는 음식 서비스 로봇을 시연해 보이고 있다. [사진=KT]

AI의 등장은 한국의 정보통신(IT)·통신·반도체 등 산업 전체의 판도를 바꿨다. IT 업계에서는 한국형 AI라는 점을 내세워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과 맞붙겠다고 예고했다. 글로벌 빅테크와의 혈전에 나서는 국내 IT 기업들의 부담감은 클 수밖에 없다.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국내 업체들은 글로벌 빅테크와의 경쟁에서 '한국형 AI'라는 승부수를 띄웠다.

통신 업계는 새 먹거리로 AI를 점찍어 공격적인 투자, 글로벌 단체 구성 등 AI 시장 선점에 팔을 걷었다. 반도체 업계는 늘어나는 AI 수요에 따라 고사양 메모리 제품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수익의 한 축으로 성장하고 있다. 이처럼 산업의 흐름은 AI와 함께 가고 있다.

실제 한국IDC는 국내 AI 시장이 2023년 기준 지난해 대비 17.2%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후 국내 AI 시장은 5년 동안 연평균 성장률 14.9%로 2027년까지 4조636억원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몸집이 커지는 AI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다양한 업체들이 발 빠르게 움직이는 이유다.

DAN 컨퍼런스에서 최수연 네이버 대표가 발표하는 모습. [사진=네이버]
DAN 컨퍼런스에서 최수연 네이버 대표가 발표하는 모습. [사진=네이버]

◇치열한 글로벌 AI 시장…'한국형 AI'로 응수 


마이크로소프트(MS), 구글 같은 글로벌 빅테크 업체들은 막강한 자본력과 기술력을 중심으로 글로벌 AI 시장을 견인하고 있다. 이에 한국 빅테크 기업들은 맞춤형 특화 전략으로 반격에 나선다.

대표적으로 세계 최대 전자 상거래 업체 아마존은 20일(현지시간) 생성형 AI 음성비서 알렉사를 공개했다. 알렉사는 기존 음성 비서에 생성형 AI 기능이 더해진 것이 특징이다. 

집안일 도우미 기능과 챗GPT 처럼 질문을 하고 답하는 기능도 할 수 있다. 아마존의 생성형 AI 음성비서 알렉사 출시로 글로벌 AI 시장 경쟁이 한층 달아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IT 업체들은 글로벌 빅테크와의 경쟁에서 '한국형 AI'라는 콘셉트를 앞세워 시장 공략에 치열하게 뛰어드는 모양새다.

네이버는 지난달 ▲생성형 AI 하이퍼클로바X ▲대화형AI 서비스 클로바X ▲생성형AI 검색 큐:를 선보였다. 이 중 하이퍼클로바X는 자연스러운 한국어 표현과 한국 사회의 맥락, 법, 제도, 문화를 이해하는 생성형 AI라는 것이 특징으로 꼽힌다. 

네이버가 한국형 AI라는 특징을 앞세운 만큼 한국에 특화된 AI를 공개했다. 하이퍼클로바X는 MS의 초거대 AI GPT-3.5와 비교했을 때 한국어를 6500배 더 학습했다. 자연스러운 한국어 표현을 위해 50년치 뉴스와 9년치 블로그 데이터가 학습에 사용됐다.

카카오는 연내 생성형 AI 코GPT 2.0을 출시할 예정이다. 지금까지 공개된 중간 학습 버전에는 여행 계획을 요구했을 때 여행 지역의 기상 상황까지 조언해 주는 단계까지 실행되는 상태다. 카카오는 속도, 최신성, 정확성, 비용 등 네 가지 부분을 핵심으로 AI 모델을 제작한다는 그림이다.

네이버와 카카오 모두 국내 토종 기업인만큼 한국 시장에 특화된 AI 모델을 낼 것으로 전망된다. 일각에서는 글로벌 빅테크 업체들이 AI 시장을 선도하는 상황에서 한국 업체들의 부진을 예상하는 시각도 나온다. 하지만 한국은 고유의 문화와 언어 등이 발달한 나라 중 하나로 꼽힌다. 즉 한국을 가장 잘 녹인 '한국형 AI'가 흥행의 열쇠로 작용하기 위해서는 한국 내 데이터를 얼마나 축적하고 학습하느냐가 관건이라는 것이다.

AI 서비스 에이닷용 슈퍼컴퓨터 타이탄 [사진=SK텔레콤]
AI 서비스 에이닷용 슈퍼컴퓨터 타이탄 [사진=SK텔레콤]

◇미래 먹거리로 'AI' 낙점한 통신업계


국내 이동통신사 3사는 AI 사업을 미래 먹거리로 낙점했다. 통신으로 인한 수익이 정체되는 상황에서 미래 먹거리인 AI 사업을 통해서 수익성 다변화를 꾀한다는 전략이다.

SK텔레콤은 AI컴퍼니로 전환을 선언한 바 있다. 나아가 글로벌 AI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자강·협력 투트랙 전략을 선택했다. 또 SK텔레콤은 전 세계적인 AI 산업의 변화를 선도하기 위해 글로벌 통신사들과 '글로벌 텔코 AI 얼라이언스'의 출범을 알렸다.

AI를 활용해 통신업의 패러다임을 전환할 수 있는 시기라고 보고 기존 핵심 사업들을 AI로 전환해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겠다는 의중이다.

SK텔레콤은 지난해 베타 형식으로 선보인 자체 개발 초거대언어모델(LLM) 에이닷을 출시했다. 이후 빠른 속도로 가입자 100만명 이상을 확보했다. 에이닷은 연내 정식 버전을 선보인다.

KT는 미래 성장 동력인 AI 풀스택 확보를 위한 행보에 박차를 가했다. 올해 하반기에는 초거대 AI 믿음 출시를 앞두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AI 서비스 개발에 필요한 컴퓨팅 인프라 구축에서 엔비디아의 그래픽처리장치(GPU) 점유율이 80%에 육박하는 압도적인 상황이다. KT는 이를 극복하고 국가 AI 경쟁력 확보를 위해 국내 스타트업과 협력해 외산 GPU 의존도를 극복하겠다는 전략이다.

LG유플러스는 자체 AI 브랜드 익시를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내놨다. 회사는 LG AI 연구원이 개발한 AI 엑사원 2.0을 활용해 전 사업분야에서 비즈니스 모델과 결합할 예정이다. 추가로 엑사원은 디지털 전환과 미래 먹거리 발굴에도 쓰일 계획이다.

AI의 등장으로 통신업계도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다. 자체 AI 브랜드 출시는 물론 글로벌 통신사와 단체를 결성하고, 투자와 협력을 통해 국가 AI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힘을 쏟고 있다.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 클린룸 [사진=삼성전자]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 클린룸 [사진=삼성전자]

◇AI 돌풍에 몸 싣는 '삼성전자·SK하이닉스 HBM 반도체'


AI 시장이 확대되면서 부진하던 반도체 업황에도 빠르게 상승국면을 맞이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경기 침체로 인해 스마트폰, PC의 수요가 줄어들면서 해당 제품들에 들어가는 반도체의 수요도 감소했다. 하지만 고부가가치 제품인 고대역폭메모리(HBM)의 수요는 빠르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면서 업계에도 서서히 훈풍 조짐이 불고 있다는 게 시장의 평가다. 

업계 관계자는 "AI 수요가 증가하는 것만큼 HBM에 대한 수요와 매출도 함께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는 올해 HBM 시장에서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가 각각 46~49%의 점유율을 차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두 회사가 HBM 시장에서 차지하는 점유율 합계는 95% 안팎에 달할 정도로 압도적인 수치다.

HBM의 경우 AI에 필요한 GPU에 대거 탑재되기 때문에 AI 시장이 커질수록 성장하게 된다. HBM 시장은 2025년까지 연평균 45%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반도체 업체들은 업그레이드된 성능의 HBM 제품들을 속속 내놓고 있다. 삼성전자는 올 하반기 4세대 HBM3에 이어 5세대 HBM 확장 버전인 HBM3P 공개 예정이다. SK 하이닉스는 다음해 상반기부터 HBM3E 양산에 들어갈 예정이다.

AI의 등장은 산업의 전체적인 변화를 동반했다. 관련 업계는 AI 시장을 놓치지 않기 위해 각자의 기술력과 전략으로 무장을 마쳤다. 1차 산업 시대에서 4차 산업 시대에 이르기까지 산업환경은 끊임없이 변화와 발전을 거듭했다. 이에 따라 한국 산업은 새롭게 시작되는 AI 시대의 흐름에 따라 혁신을 이어나갈 것으로 보인다. 

굿모닝경제 곽유미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굿모닝경제 - 경제인의 나라, 경제인의 아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