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세 미만·일용직 근로자 가구 소득 증가율 둔화 두드러져

<뉴스1>

[한국정책신문=주가영 기자] 지난해 물가상승률이 1년 전에 비해 2배 가까이 올랐지만 가계의 가처분소득 증가율은 2년 연속 제자리다.

가처분소득은 전체 벌어들인 소득 중 세금 등을 제외하고 소비·저축 등에 쓸 수 있는 자금이다. 가처분소득이 늘어야 가계부에 실질적으로 여유가 생겨 소비가 늘어날 수 있다.

9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가구 평균 가처분소득은 4118만원으로 전년 4021만원보다 2.4%(97만원) 증가에 그쳤다. 이는 전년도 가처분소득 증가율(2.4%)과 같은 수준이다.

2013년 5.0%를 기록했던 가처분소득 증가율은 2014년 4.6%, 2015년 2.8%로 감소한 데 이어 2016년과 지난해 각각 2.4%를 기록했다. 4년새 가처분소득 증가율이 절반 수준으로 떨어진 것이다.

특히 30세 미만과 일용직 근로자 가구의 소득 증가율 둔화가 두드러졌다.

30세 미만 가구주의 가처분소득은 지난해 0.3% 감소하며 2015년(-1.0%), 2016년(-3.8%)에 이어 3년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또 60세 이상 가구도 2016년 5.2%에서 지난해 1.6%로 가처분소득 증가율이 하락했다.

근로형태별로는 임시일용근로자 가구의 가처분소득 증가율이 2016년 6.4%에서 지난해 3.5%로 줄어들면서 전체 소득증가율 둔화의 원인이 됐다.

반면 지난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9%를 기록하며 전년(1.0%) 대비 0.9%포인트 증가했다. 이는 지난 2012년 2.2% 상승률을 기록한 이후 5년 만에 물가가 가장 많이 오른 것이다.

장바구니 물가로 불리는 생활물가는 지난해 2.5% 상승률을 기록했다. 신선식품물가도 6.2%로 높은 상승률을 나타냈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는 "정부가 재정을 확대하더라도 고용지표가 악화되면 가계의 가처분소득이 증가하기 어렵고 이는 소비를 제약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굿모닝경제 - 경제인의 나라, 경제인의 아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