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취업자 20%가 1년 이하 계약직으로 직장생활 시작

드라마 ‘미생’ 속의 주인공 장그래는 계약기간이 2년인 계약직이다. 이런 ‘장그래’보다 더 미생인 청년 취업자가 5명 1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 취업자 20%가 1년 이하의 계약직으로 직장생활을 시작한다는 것이다.

14일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의 '청년층 부가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학교를 졸업하거나 중퇴해 갖은 첫 일자리가 1년 이하 계약직이었던 만 15∼29세 청년은 76만1000명으로 조사됐다. 전체 청년 취업자의 19.5%를 차지한다.   

 

'장그래'보다 더 미생인 청년이 5명 중 1명으로 드러났다. 드라마 '미생' 캡쳐.

 

다행히도 첫 직장이 1년 이하 계약직인 청년 취업자 비중은 2013년의 21.2%에 비해 소폭 낮아졌다. 그러나 여전히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보다 크게 높은 수준이다.

이 비중은 2008년 11.5%였으나 2009년 12.8%, 2010년 16.8%, 2011년 20.9%로 급격히 증가했다. 2011년부터는 4년째 20% 안팎에서 움직이고 있다.

금융위기 이후 정규직 일자리가 단기 계약직으로 대체되는 현상이 두드러진 가운데, 청년층의 불안한 고용 상황이 나아지지 않고 있는 것이다. 심지어 계약기간이 1년을 넘는 일자리에서 직장생활을 시작한 청년 취업자 비중은 2008년 6.4%에서 지난해 3.1%로 확 줄었다.

계약기간이 끝나면 그만둬야 하거나, 비정규직으로 첫 직장으로 잡은 청년 비중은 34.8%에 이르렀다. 고용이 불안정한 곳에서 직장생활을 시작하는 청년 취업자 3명 중 1명이나 되는 것이다.

첫 직장이 비정규직이라고 할지라도 2년 후 정규직으로 전환되거나, 근무 경험을 바탕으로 정규직으로 채용된다면 비정규직 비율이 높은 점은 문제라고 할 수 없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비정규직으로 직장생활을 시작한 청년은 2년마다 직장을 비정규직 상태로 옮기거나, 실업상태가 될 가능성이 더 큰 것이 문제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2013년 비정규직 이동성 국가 비교' 자료에 따르면 한국에서 비정규직이 1년 뒤 정규직으로 전환되는 비율은 11.1%에 그쳤다. 계속해서 비정규직으로 일하는 비율이 69.4%, 아예 실업 상태로 떨어지는 비율은 19.5%였다.

비정규직이 3년 뒤에 정규직으로 전환되는 비율은 22.4%로 다소 높아지지만, 여전히 비정규직으로 머무는 비율이 50.9%에 달했다. 나머지 26.7%는 실업자가 된다.

김두순 한국고용정보원 연구위원은 "첫 일자리는 향후 사회활동의 기준점이 되는데다 업무능력 습득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며 "비정규직이 괜찮은 일자리로 가는 '디딤돌'이 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굿모닝경제 - 경제인의 나라, 경제인의 아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