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책신문=주가영 기자] 생명보험사들의 보장성상품 비중을 확대하기 위한 종신보험의 변신이 이어지면서 본연의 기능이 모호해지고 있다.

종신보험의 형태가 모호해지면서 소비자의 혼란도 가중돼 민원 역시 늘고 있다.

종신보험은 피보험자의 평생을 담보해 사망하게 되면 사망의 시기와 원인을 따지지 않고 특별한 사유(자살 등) 외에는 무조건 보험금을 100% 지급한다.

저축보다는 만약의 사고를 대비한 전형적인 보험상품이다.

하지만 최근 생보사들은 사망하기 전이라도 보험금을 활용할 수 있는 상품들을 선보이고 있다.

사망보험금을 교육비나 연금으로 미리 받을 수 있거나 추가납입한도, 가입연령을 확대하는 등 보장 강화 및 다양화에 나서고 있는 것이다.

보험사들은 소비자들의 니즈와 보장성을 확대하기 위한 경영전략이라고 밝히고 있다.

하지만 종신보험의 기능이 다양해지면서 종신보험 보다는 그 외 보장들이 강조되고 있어 대체 무슨 보험인지 모호해질 때가 있다.

특히 보험설계사들은 판매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적립금이나 환급금 등을 강조하다보면 소비자들 입장에서 저축성보험으로 오인할 소지가 생긴다.

생명보험협회 공시에 따르면 수입보험료 기준 상위 생보사 10곳의 3분기 종신보험 보유계약 10만건당 민원건수는 평균 13.2건이다.

종신보험 민원건수 평균은 지난 1분기 11.5건에서 2분기 10.8건, 3분기에는 13.2건으로 증가세다.

물론 추가납입제도나 가입연령 확대 등은 이를 필요로 하는 소비자들에게는 유용한 담보임에는 분명하다.

다만 연금보험 기능이나 자금유용성을 내세우다보면 불완전판매로 이어질 수 있어 우려된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 생명보험사들의 주력 상품은 종신보험이다.

보장성 비중도 늘려야 하고 영업이익도 내야 하는 보험사들의 몸부림은 이해가 간다.

하지만 소비자를 현혹해 잇속만 채우려 한다면 결국 보험사들에게 돌아오는 것은 소비자의 민원과 불신뿐이다.

저작권자 © 굿모닝경제 - 경제인의 나라, 경제인의 아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