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몇 년간 가계의 평균소비성향이 급감하는 모습이다. 가계의 실질소득이 증가해도 소비가 늘지 않는 모습을 보이며 가계소비가 침체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 평균소비성향이 전국 1인 이상 가구 통계 작성 이후 최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8일 현대경제연구원이 발표한 '평균소비성향 변동의 기여 요인 분해와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2006~2011년까지 가계의 평균소비성향은 77%대 전후를 유지했으나 2012년 이후부터
급감하고 있다.

특히 2015년 평균소비성향은 72.4%로 전국 1인 이상 가구 통계작성 이래 최저치를 기록했다.

평균소비성향이 감소한다는 것은 처분가능소득 증가율 보다 소비지출 증가율이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보고서에 따르면 평균소비성향 하락 현상은 광범위한 품목에서 진행되고 있다.

2011~2015년 평균소비성향이 줄어드는데 기여한 품목 수는 63개 품목인 반면 높이는데 기여한 품목 수는 34개 품목에 불과했다.

<제공=현대경제연구원>

평균소비성향이 줄어드는데 기여한 품목수가 높이는데 기여한 품목 수 보다 두 배 가량 많았다는 것은 하락 현상이 특정 품목이 아니라 다양한 소비지출 품목들에서 진행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 기간동안 평균소비성향 상승 기여 품목을 보면 실제주거비(0.61%p) 등 주거 관련 소비, 자동차구입(0.53%p), 통신장비(0.52%p) 등 일부 내구재 소비, 단체여행비(0.34%p), 문화서비스(0.16%p) 등 여가와 관련된 소비 지출과 보험(0.20%p) 등이었다.

전세 가격 급등, 월세로의 빠른 전환으로 주거비 부담이 가장 크게 늘었고 정부의 소비진작책 효과로 자동차구입이 평균소비성향을 높이는데 기여했다.

또 휴대폰 관련 지출 비중이 크게 늘었으며, 문화서비스에 대한 수요와 보험료 지출이 늘어났다.

반면 평균소비성향 하락 기여 품목은 운송기구연료비(-0.79%p), 연료비(-0.65%p) 등 석유류 관련 품목, 초등교육(-0.30%p), 중등교육(-0.11%p), 고등교육(-0.51%p) 및 학생학원교육(-0.48%p) 등 교육 관련 품목, 통신서비스(-1.03%p), 복지시설(-0.86%p) 그리고 식사비(-0.20%p), 채소및채소가공품(-0.15%p), 신선수산동물(-0.14%p) 등 식료품 관련 지출이었다.

국제 유가 급락으로 석유류에 대한 지출 부담이 낮아졌고, 학령인구 감소로 교육에 대한 지출 비중이 감소했다.

또 통신료 인하, 복지시설, 식사비, 채소 및 채소가공품, 신선 수산동물 등 식료품 관련 지출도 평균소비성향 하락 기여도가 높았다.

김천구 연구위원은 "주거비 급등, 정부의 내수 활성화 정책, 가계의 수요변화 등이 평균소비성향을 높이는데 기여했다"며 "가계의 소비여력에도 불구하고 소비재 중 일부 내구재를 제외하고는 뚜렷하게 가계의 소비확대로 이어지지 못한 채 오히려 광범위한 품목에서 평균소비성향 하락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굿모닝경제 - 경제인의 나라, 경제인의 아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