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국내총생산 (GDP)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무려 87%로 13년째 신흥국 가운데 1위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부채 비율을 떨어뜨리기 위한 뾰족한 대책은 없는 상태다. 국제결제은행(BIS)은 8일 지난해 3분기 한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87.2%로, 17개 조사 대상 신흥국 중 가장 높게 나타났다고 밝혔다. 가계부채가 경제성장의 발목을 잡는다는 우려가 연일 나오고 있는 상황에서 이런 통계가 나와 걱정이 더 크다.

BIS 조사를 선진국 24개국까지 포함할 경우 한국은 41개국 중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8번째로 높았다. 가계부채 비율이 가장 높은 나라는 스위스로 124.2%였다. 다음은 호주 123.1%, 덴마크 122.9%, 네덜란드 111.4%, 캐나다 96.0%, 노르웨이 93.0%, 뉴질랜드91.3% 등이다. 가계부채가 한국 다음으로 심각한 신흥국은 태국 70.8%, 말레이시아 70.4%, 홍콩 67.0%, 싱가포르 60.8% 등이다.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 87.2%는 부채 금액으로 보면 얼마나 심각한 것인지 놀라게 된다. 2015년 12월 기준 우리나라의 가계부채는 금액으로 1207조원이다. 가계부채 비율은 1962년 4분기까지만 하더라도 1.9%에 불과했다. 50년 전인 당시는 생활이 어렵기는 했지만 가계부채가 거의 없는 상태였다. 이후 계속 늘어 2000년 50%대, 2002년 60%대로 진입했다. 2006년 2분기에 67.5%가 됐다. 이후 급격히 늘어 지난해에는 87.2%까지 높아졌다.

가계부채 1207조원을 인구로 나누면 국민 1인당 2400만원, 가구당 6000여만원의 빚을 지고 있는 꼴이다. 전 국민, 온 가구가 빚에 쪼들리고 있는 것인데 여간 심각한 문제가 아니다. 빚을 갚기 위해서는 지출을 줄일 수밖에 없고, 그로 인해 내수 시장은 침체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다. 특히 소득이 적거나 소득이 없는 사람들은 빚을 갚기 위해 또 다른 빚을 내야 하는 어려운 처지가 됐다.

이렇게 가계대출이 늘어난 이유를 한 두 가지로 설명할 수는 없지만 가장 큰 이유는 실업과 경기 침체 등으로 개인별, 가구별 소득이 부진하기 때문일 것이다. 이에 비해 교육비, 주거비, 이동전화요금, 교통비, 의료비 등 수입과 관계없이 꼭 지출해야 하는 금액은 점점 늘어나고 있고 상태다. 개인이든 가구든 빚이 불어날 수밖에 없는 구조다. 여기에다 경기 부양을 위해 저금리 아파트 대출을 많이 한 것도 부채를 증가시킨 큰 요인이었다.

중요한 것은 부채를 줄이는 것인데 개인이나 국가 모두 뾰족한 방법이 없다는 점이다. 금리를 낮추면 대출이 늘어 부채관리가 어렵고, 금리를 올리면 돈을 빌린 사람들이 큰 곤경에 빠지게 되기 때문이다. 가계부채는 국내는 물론 외국에서도 걱정을 하고 있다. 가장 시급한 것은 가계소득을 늘려 주는 것인데 이를 위해서는 일자리가 제공돼야 한다. 하지만 일자리 마련도 쉬운 문제가 아니다. 가정은 가정대로, 정부는 정부대로 부채를 줄이기 위해 고민하고 지혜를 모아야 한다.

키워드

#N
저작권자 © 굿모닝경제 - 경제인의 나라, 경제인의 아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