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PF·홍콩ELS 악재 겹치며 실적 부진 예상…감독분담금 확대 부담 커져

여의도 증권가.[사진=연합뉴스]
여의도 증권가.[사진=연합뉴스]

지난해 각종 리스크 부각 여파로 부진한 실적을 기록했던 금융투자업계가 올해 금융감독원에 납부하는 감독분담금 부담 확대라는 또다른 악재를 만났다.

금융권 중 유일하게 금투업계의 분담금 부담이 늘어난 금융투자사들의 한숨이 깊어지고 있다.

◇금투업계, 부동산PF·홍콩ELS 악재에 실적 동반 하락

28일 금융당국과 금융권에 따르면 국내 영업 60개 증권사의 지난해 당기순이익은 일회성 배당금 2조2000억원을 제외할 경우 3조5569억원으로 전년(4조4549억) 대비 8980억원(20.2%) 감소했다. 전반적인 사업부문이 모두 부진했다.

2021년 9조896억원으로 사상 최대 이익을 거뒀지만 고금리 여파로 재작년에 반토막이 난 데 이어 작년까지 2년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우선 지난해 증권사들은 증시부진으로 매매거래가 줄어들면서 수수료 수익이 11조7244억원으로 전년(13조388억원) 대비 10.1% 감소했다. 

IB 부문에서도 채무보증 수수료 등이 감소하면서 수수료 수익이 3조2769억원에 머물렀다. 전년 같은 기간(4조8388억원)과 비교해 수익이 32.3% 쪼그라들었다.

주요 금투사들은 지난해 부동산 프로젝트파인낸싱(PF) 리스크와 홍콩 주가연계증권(ELS)  등 대규모 금융손실에 대비하기 위한 충당금 적립에 나선 결과 실적에 직접적인 타격을 받았다.

현재까지 사업보고서를 제출한 23개 증권사의 지난해 대손충당금은 4조2251억원으로 전년(2조954억원)보다 101.6% 급증했다.

대손충당금은 손실을 대비해 적립하는 자금이다. 재정적 안정성을 위해 채권 중 회수가 불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는 금액이기에 회계적으로 비용으로 처리된다. 

올해 전망도 어둡다. 금융당국은 올해 하반기 부동산 PF 정상화에 나설 계획이며 홍콩 ELS 배상 작업도 진행할 예정이다. 

금투사들이 부동산PF 리스크 방어 및 배상에 대비한 추가 자원을 마련해야하는 만큼 충당금 규모는 더 늘어날 수밖에 없다. 올해 실적 개선도 쉽지 않을 것이란 의미다.

금감원 관계자는 “올해도 부동산 경기침체 지속 및 금리 인하 지연 등의 영향으로 증권사 영업실적 회복이 늦어질 가능성이 있다”며 “충분한 충당금 적립 등 선제적인 손실 흡수 능력 확충 등을 지도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금투사 나홀로 분담금 부담 커져…겹악재에 울상

금융당국이 올해 금융업권으로부터 걷어들이는 준조세 성격의 감독분담금 요율을 금투업계에 대해서만 인상하면서 금투사들의 부담은 더 커졌다.

금융당국은 분담금 성격을 명확히 하기 위한 목적으로 올해부터 요율 계산식을 변경했다.

지난해까지는 분담금을 계산할 때 영역별 감독 업무에 투입하는 인력에 60%, 업체들 영업수익에 40%의 가중치를 뒀으나 올해는 투입 인력 가중치 비중을 80%로 올리고 영업수익 비중을 20% 낮췄다.

검사 인력 투입이 잦은 업권에 더 많은 분담금을 부과하겠다는 취지나 인력 배분 비율이 그대로인 상황에서 영업수익 비중이 낮아지면서 실적이 악화된 금투업계가 된서리를 맞았다.

실제로 금융위원회는 올해 금융투자 업체들에 총부채의 0.00742279%, 영업수익의 0.02071269%씩 금감원 감독분담금 분담요율을 적용하겠다고 결정했다. 

이는 총부채 0.00661536%, 영업수익 0.01738453%를 적용한 지난해보다 모두 상승한 수치다.

지난해 대규모 충당금을 적립한 결과 금투업계의 부채총액은 크게 늘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총부채 기준 요율 인상은 실질적으로 금투사들이 부담해야 하는 분담금의 상승으로 이어진다. 

지난해 금투업계의 부채총액은 601조6000억원이었다. 이를 올해 분담금 요율로 계산할 경우 금투사들은 금감원에 약 511억원을 납부해야한다. 2023년 요율로 계산한 금액인 437억원보다 14.4% 늘어난 수치다.

금투업계 관계자는 "올해 요율 변경으로 금투사들은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감독분담금 부담이 크게 늘었다"며 "지난해는 2022년 금투사들이 호실적을 거둬들였다는 이유가 있었지만 올해는 실적이 크게 악화됐음에도 분담금 부담이 도리어 커졌다"고 지적했다.

굿모닝경제 방영석 기자

저작권자 © 굿모닝경제 - 경제인의 나라, 경제인의 아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