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향해 게임패싱, 게임법, 게임 질병코드 도입 등 작심발언 쏟아내
P2E, 확률형 아이템 등 산업계에도 쓴소리…“P2E 게임 미래 아니다”
“게임업계 혁신성 점점 사라져…경영 세대교체 필요”

위정현 한국게임학회 학회장이 게임 산업 전반에 대한 쓴소리를 털어놨다. [사진=김재훈 기자]
위정현 한국게임학회 학회장이 게임 산업 전반에 대한 쓴소리를 털어놨다. [사진=김재훈 기자]

위정현 한국게임학회 학회장이 정부의 게임 정책과 게임 산업계에 대한 전 방위적 작심발언을 쏟아내며 진흥과 혁신을 요구했다.

위 학회장은 11일 한국게임학회 신년 기자간담회를 열고 ▲문화체육관광부 게임 산업 정책 평가 ▲P2E 향후 전망 및 정부 정책 ▲최근 통계청장 발언 등 향후 게임질병코드 우려와 대응 방안 ▲메타버스 산업 전망 ▲국회 문체위 법안소위 김윤덕 의원 발언 분석과 확률형 아이템 법안 문제에 대해 쓴소리를 냈다.

먼저 위 학회장은 문체부의 지속된 게임 패싱에 대해 강한 불만의 목소리를 냈다. 윤석열 대통령의 대선 후보시절 게임 공약과 박보균 문체부 장관의 행보를 직접적으로 거론하며 정부의 게임 정책에 대해 비판했다.

위 학회장은 “학회는 윤 정부 출범 초기부터 성명서 등을 통해 게임 패싱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를 내왔다”며 “하지만 박 장관이 올해 문체부 업무보고에서 110대 국정 과제를 발표했지만 게임에 대한 내용은 단 하나도 들어 있지 않고 지난해 국정 감사에서도 게임 현안이 제외되는 등 게임 패싱이 지속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 정도면 박보균 장관이 아무리 비게임 전문가라도 게임 산업 전반을 너무 모르고 있는 것 같다”며 “최근에는 게임 산업 자체를 협호하는 것이 아닌가라는 의구심이 든다”고 꼬집었다.

이어 “올해 문체부가 콘텐츠 사업 예산을 약 8440억 정도로 책정 했는데 정작 게임에 대한 구체적인 지원책과 예산 활용은 언급되지 않았고 단순 타 콘텐츠 사업에 끼워 넣은 형태”라며 “수출액이 86억7000만달러, 콘텐츠 수출의 70%를 게임 산업이 견인한다고 표기하는 것처럼 게임 산업을 더 강화하고 확장하겠다는 구체적인 비전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위 학회장은 문체부를 향해 “약 2주 후까지 게임산업 진흥에 대한 구체적이고 필요한 정책을 다시 발표해 주길 바란다”고 공개적으로 요청했다.

위 학회장은 통계청의 게임 질병코드 도입 시사에 대해서도 문체부의 적극적인 행동을 요구했다.

위 학회장은 “통계청이 국제기구인 WHO의 정책을 거스를 수 없다는 취지의 발언으로 질병코드 도입을 시시하는 이야기를 했다. 이해가 가지 않는다”며 “WHO의 정책을 받아들이는 것이 강제조항은 아니다”고 반박했다.

이어 “게임 질병 코드 도입은 모든 게이머들을 정신이상자로 여기는 것”이라며 “이럴 때 일수록 박 장관이 게임 관계부처 수장으로서 정확한 의견을 피력해 달라 윤 대통령도 “게임을 병으로 보는 시선 바꿔야한다”는 약속을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위정현 게임학회 학회장. [사진=김재훈 기자]
위정현 게임학회 학회장. [사진=김재훈 기자]

또 지난해 연말 문체위 법안 소위를 넘지 못한 확률형 아이템 법안에 대해서도 김윤덕 더불어민주당 의원을 직접 저격했다. 이어 오는 30일 계획된 법안 소위에서 신속한 법안 통과를 촉구했다.

김 의원은 법안 소위 당시 확률형 아이템 법적규제가 과잉규제라며 신중해야 한다는 입장을 강조하며 법안 통과를 반대했다.

위 학회장은 “김 의원이 법안 통과가 확실시 되는 상황에서 갑자기 ‘신중함’을 주장한 것은 이해가 안된다”며 “확률형 아이템 규제법안은 짧게는 3년이라는 시간동안 여야가 논의해 왔다. 이제와서 신중해야 한다는 입장을 이제와서 이해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김 의원을 향해 “오는 30일에 문체위 법안소위가 있고 31일에 전체회의가 예정돼 있다”며 “지난 법안소위 속기록을 보면 모두가 찬성하는 가운데 게임법 개정안 통과를 유일하게 반대했던 인물이 김 의원이다. 이번 법안소위에서 책임지고 법안을 통과시키는지 지켜보겠다”고 덧붙였다.

위 학회장은 정부뿐만 아니라 게임 산업계에도 쓴소리를 아끼지 않았다. 먼저 P2E와 메타버스에 대해 회의적인 입장을 밝히며 더 이상 게임업계의 트렌드가 아니다고 주장했다.

위 학회장은 “P2E는 원래 게임의 미래가 아니었다”며 “P2E는 이미 하양세에 접어들었고 확률형 아이템 등 과금적 요소와 완전히 배제되거나 코인의 신뢰성이 증명되지 않으면 결코 성공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기업들 사이에서 게임사가 가장 신뢰를 받지 못하고 있고 특히 금융권이 게임사에 대한 의구심이 가장 높다”며 “위믹스 상장폐지에서 볼 수 있듯이 이제는 냉정히 현실을 바라봐야한다”고 밝혔다.

위 학회장은 메타버스에 대해서도 “메타버스도 P2E와 마찬가지로 하향세”라며 “다만 메타버스를 구성하는 요소 VR과 AR 등 기술적 요소는 지속적으로 성장시키고 메타버스 자체를 세분화해 각자 요소에 맞는 진흥책을 내놔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위 학회장은 혁신과 도전의 상징이던 게임업계가 오히려 타 산업과 비교해 혁신성이 떨어지고 있다 지적하며 창업주 등 1세대 경영진의 세대교체가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위 학회장은 “국내 게임업계가 확률형 아이템에만 의존하고 IP 재활용이 증가하는 등 너무 보수화 되고 있다”며 “이는 1세대 경영진의 역량이 한계에 달한 것 같다. 전문 경영인과 젋은 개발자를 끌어 올릴 수 있는 새로운 구조가 만들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굿모닝경제 김재훈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굿모닝경제 - 경제인의 나라, 경제인의 아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