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의료진이 전화로 코로나19 확진자를 진료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한 의료진이 전화로 코로나19 확진자를 진료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으로 비대면 문화가 자리잡으면서 의료분야에서도 향후 발병할 감염병에 대비한 기술개발을 본격화한다.

20일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에 따르면 '감염병 미래대응 기술개발지원 사업기획' 과제를 추진한다.

정부는 2020년 12월부터 의료인이 유·무선 전화나 화상통신을 통해 환자를 진료하는 비대면 진료를 한시적으로 허용했다. 특히 지난 3~4월 코로나 확진자 폭증 기간에는 확진자나 의심자가 병의원을 방문하지 않고도 의료진과 전화로 진료와 처방, 약국 처방약 수령 등을 하기도 했다.

비대면 진료는 2010년대 초만 하더라도 '원격의료'라 불리며 교도소 재소자나 격오지 군장병 등을 대상으로 시범사업 형태로 제한 운영했다. 원격의료를 본격 도입하면 지방 환자 등이 서울대병원, 삼성서울병원 등 이른바 '빅5' 상급대형병원만을 이용할 것으로 판단, 의료단체의 거센 반대에 부딪혔다.

하지만 코로나19로 동네 병의원을 통한 전화 중심의 비대면 진료가 자리하면서 상황은 변했고, 비대면 의료 도입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정부는 미래 발병할 수 있는 신·변종 감염병 대유행 상황에 대비한 지속가능한 의료대응체계 마련을 위한 기술개발 연구과제 공모에 나선 것이다. 코로나19를 포함한 메르스, 사스 같은 신·변종 바이러스로 인한 감염병 확산이 향후 지속적으로 발생할 개연성이 높아 선제적으로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따라 감염병에 대응하는 비대면 의료기술 개발 과제와 비특이적이며 즉각적인 미지의 호흡기 감염병을 치료하는 '질병 X(Disease X)' 개발 과제도 찾는다.

원격의료 업계 관계자는 "원격 환자를 진료할 수 있는 디지털 심전계·혈압계·청진기 등 생체신호 측정기기를 활용한 의료기술 개발이 본격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굿모닝경제 허우영 기자

저작권자 © 굿모닝경제 - 경제인의 나라, 경제인의 아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