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김무성 대표 '2기 체제'의 당직 인선이 거부권 파동으로 한동안 당행되기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김 대표는 취임 1주년을 맞는 7월 14일 이전에 2기 체제 당직개편을 마치고 6월 국회가 끝나면 곧바로 총선 준비에 돌입하려는 구상이었으나, 국회법 변수가 생겨 인선 시기를 기약할 수 없는 상황이 됐다.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새누리당

앞서 지난 16일 이군현 사무총장과 강석호 제1사무부총장이 "이제는 총선 체제로 가야하고 분위기 쇄신을 위해 당직을 개편했으면 한다"며 자진사퇴했고, "이를 신호탄으로 대변인 등이 잇따라 사의를 표했으나 보름이 지나도록 2기 체제를 갖추지 못해 사의를 밝힌 당직자들이 당무를 이어가고 있다.

이번 거부권 정국은 단순히 인선 시기를 늦추는 데 그치지 않고 향후 김 대표의 인선 개편 내용에도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특히 내년 총선을 대비한 공천 업무에 직접 관여하는 사무총장 자리와 김 대표 취임후 1년 가까징 공석이었고 역시나 공천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명직 최고위원 자리가 가장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박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 배경에는 당국 국정운영에 협조할 수 있는 구성원들로 '재정비'하고 당에 대한 장악력을 높이려는 의도가 깔려 있다는 분석이 나오는 만큼, 핵심 당직을 임명할 때 청와대 의견을 주요하게 고려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저작권자 © 굿모닝경제 - 경제인의 나라, 경제인의 아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