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은행 여성 행원 차별 지적…농협중앙회, 정규직 전환 대상서 지역단위 제외

서울 여의도 KDB산업은행 본점. <KDB산업은행 제공>

[한국정책신문=김희주 기자] 국책은행인 KDB산업은행과 준 공공기관인 농협중앙회에서 비정규직 직원들의 불만이 새나오는 가운데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문재인 정부가 일자리 창출과 일자리 안정화를 최우선 과제로 내세우고 있지만 정작 이들 기관은 역행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0일 금융권에 따르면 산업은행과 농협중앙회의 직원 차별은 여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산업은행은 정규직이지만 비정규직 대우를 받는 '특정직'에 대한 차별이 상당하고, 농협중앙회는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작업이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산업은행은 특정직을 정규직과 마찬가지로 정년과 복리후생은 보장하지만 임금체계나 승진 등에 있어서 무기계약직처럼 비정규직과 같은 기준을 적용받는 '중규직'으로 규정하고 있다.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이하 금융노조)은 이들이 정규직 노동시장에 온전히 편입하지 못한 채 고입돼 별도의 직군으로 고착화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산업은행 노동조합은 이들 특정직의 초임은 대졸 공채 출신 정규직(일반직) 초임의 70%에 불과하고 승진 기회는 적으면서 급여 상승도 더디다고 밝혔다.

산업은행 노동조합은 또 해당 직원만 올 1분기말 기준으로 총 478명이며 이 중 441명이 여성근로자라고 부연했다.

앞서 심상정 정의당 의원은 지난해 10월 국정감사에서 "이 같은 형태의 무기계약직은 사실상 여성 차별제도"라며 "여성 행원들은 여전히 70, 80년대에 머물러 있는 것이나 다름없다"고 지적했다.

이들 대부분은 영업점 창구에서 종사하고 있으며 대졸 공채 출신 정규직(일반직)의 업무와 유사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상대적으로 적은 급여와 승진 제한에 내부 불만이 상당한 것으로 전해졌다.

일각에선 국책은행인 IBK기업은행이 올해 3월 3300여명에 달하는 무기계약직 전원을 정규직으로 일괄 전환하고 승진, 급여 등 인사제도에서 차별을 없앤 것과 대조된다는 지적을 내놓고 있다.

준 공공기관인 농협중앙회도 비정규직의 정규직화에 나서고 있지만 지지부진한 행보를 보이기는 마찬가지다.

농협중앙회는 지난해 5월부터 범농협일자리위원회를 통해 계열사의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하는 작업에 나서고 있으나 별다른 소득이 없는 상황이다.

농협중앙회는 농협금융지주·농협경제지주 26개 계열사에 총 3만5000여명의 직원을 보유하고 있다. 지난 3월 김병원 회장이 취임 2주년 브리핑에서 "전체 비정규직 5200여명 가운데 3214명을 올해 점진적으로 정규직으로 전환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다만 정규직 전환 대상에서 지역단위농협의 비정규직은 제외됐다. 1131개 지역의 농·축협을 포함하면 직원은 10만명에 달하고 이 중 비정규직 수는 2만여명에 달한다.

김현정 전국사무금융노조위원장은 "농협중앙회가 수 년 동안 지역농협의 비정규직을 심각하게 차별하고 있다는 것을 너무나도 잘 알고 있다"며 "이번 정규직 전환은 새 정부의 일자리 창출에 부응하는 태도를 보이면서 한편으론 비정규직 차별을 숨기기 위한 꼼수"라고 비판했다.

이에 농협중앙회 관계자는 "지역 농·축협 조합은 별개의 조직으로 운영돼 중앙회가 강제로 규정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한편 문재인 정부는 노동시장의 안정화를 위해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과 근로시간 단축, 최저임금 인상 등을 정책으로 내세웠다.

저작권자 © 굿모닝경제 - 경제인의 나라, 경제인의 아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