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플러그인' 文대통령의 공인인증서 법제도 개선 지시로 금융권 블록체인 기술 도입 급물살

가상화폐 비트코인의 공공 거래장부로 알려진 '블록체인' 기술이 국내 증권사를 시작으로 은행, 보험, 카드 등 전 금융권에 적용될 전망이다. <뉴스1>

[한국정책신문=김희주 기자] 앞으로 공인인증서를 매번 갱신하는 불편함과 해킹, 정보 유출에 대한 걱정이 사라질 전망이다.

가상화폐 비트코인의 공공 거래장부로 알려진 '블록체인' 기술이 국내 증권사의 본인인증에 도입된 가운데 은행, 보험, 카드 등 다른 금융권에도 적용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문재인 대통령이 최근 노플러그인(No Plug-in)을 정책 목표로 공인인증서 법제도 개선을 지시하면서 금융권의 블록체인 기술 도입은 급물살을 탈 것으로 보인다. '공인인증서·액티브X 제거'는 문 대통령의 후보 시절 공약이다.

21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금융투자협회의 블록체인 기반 금융투자업권 공동인증 서비스 '체인 아이디'(CHAIN ID) 시범사업이 순황 중이다.

블록체인은 개인 간 거래 정보를 중앙 서버가 아닌 모든 참가자의 네트워크에 공유하는 '분산형 디지털 장부' 기술로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 거래 시 일어날 수 있는 해킹을 막아준다.

거래내역이 특정 금융기관 서버에 집중되지 않고 거래에 참여하는 모든 기관으로 거래내역을 전송해 이를 대조하는 방식으로 데이터 위·변조와 해킹이 어려워 공인인증서보다 안전성이 뛰어난 기술로 평가받는다.

금융투자업계는 지난해 4월부터 금융투자협회 회원사로 구성된 태스크포스(TF)를 만들었으며 블록체인기술 현황파악과 적용 가능 사업모델을 모색해왔다.

그리고 지난해 12월 금융투자협회와 26개 증권사·선물사, 5개 블록체인 관련 기술회사가 참여한 '금융투자업권 블록체인 컨소시엄'이 발족됐고 지난 10월 '체인 아이디' 시범사업을 시작했다.

해당 시범 서비스에는 대신·메리츠종금·신한금융투자·유안타·유진투자·이베스트·케이비(KB)·키움·하나금융투자·한국투자·한화투자증권 등 11곳이 참여 중이다.

'체인 아이디'는 MTS(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 로그인에 공인인증서 대신 블록체인 인증방식이 사용된다. 이 서비스를 이용하면 한 증권사에서 인증 절차를 거치면 별도의 등록 절차 없이 다른 증권사에서도 바로 주식 거래를 할 수 있다.

매해 갱신해야 하는 인증서도 3년에 한 번씩 갱신하면 된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따르면 올해 1월 기준 국내 공인인증서 발급건수는 3544만건으로 경제활동인구(2669만명) 대비 보급률이 132%다. 이를 고려하면 공인인증서 갱신의 '귀찮음'이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

증권사는 비용 절감을 할 수 있다. 현재 증권사들은 공인인증서 본인 인증 시 코스콤에 수수료를 내야 한다. 정확한 비율은 공개되지 않았다. 하지만 증권사의 독자적인 인증체계가 갖춰지면 기존 수수료의 10분의 1 수준으로 비용이 줄어들 전망이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인증기관을 지정해주는 나라는 우리나라뿐일 것이다. 점점 더 해킹의 위험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보안 문제도 시장 논리에 맡겨야 한다"며 "앞으로 블록체인은 공인인증서의 대항마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정부가 인정한 공인인증기관은 금융결제원, 증권전산원, 한국정보인증, 한국전자인증, 한국무역정보통신 등 5곳이다.

특히 최근 문 대통령이 "공공 웹사이트 이용 시 액티브엑스뿐 아니라 별도 프로그램 설치가 필요 없는 노플러그인을 정책 목표로 공인인증서 법제도 개선, 행정 절차 변경 등을 2018년 내 추진하라"고 지시하면서 이 같은 흐름은 급물살을 탈 것으로 보인다.

정부가 관리하는 모든 인터넷 사이트에서 액티브엑스뿐 아니라 일체의 플러그인(본래 프로그램에 없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설치되는 프로그램)을 제거하는 노플러그인 정책은 문 대통령의 후보 시절 공약이다.

다른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현행법상 모든 전자문서에서 공인인증서를 사용해 신원을 확인해야 한다는 규정은 사실상 없다"면서 "블록체인 기술은 앞으로 증권사뿐만 아니라 은행, 보험, 카드 등 전 금융권에서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굿모닝경제 - 경제인의 나라, 경제인의 아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