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상품의 다양한 절세 노하우

<금융감독원>

[한국정책신문=주가영 기자] #입사 초년차인 A씨(29세, 가명)는 연말정산을 하면서 실손의료보험이 세액공제 된다는 정보를 얻고 그 해 납입한 실손의료보험료 36만원을 신청해 세액공제를 받았다. 그러나 연말정산 후 소득이 없는 배우자의 보장성보험도 합산해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강진수씨는 다음 해 연말정산 때 배우자가 가입한 암보험의 보험료 64만원을 추가로 신청해 100만원에 대한 세액공제를 받았다.

#장애인 어머니를 위해 직장인 B씨(45세, 가명)는 어머니를 피보험자로 하여 매월 10만원의 장애인전용 암보험상품에 가입했다(연간 120만원). 이후 장애인전용보험에 세제혜택이 있다는 것을 안 B씨는 보험료 납입금액을 연말정산 신청해 연말정산시 16만5000원의 혜택을 받게 됐다.

보장성보험의 보험료는 연 100만원 내에서 연말정산시 세액공제가 가능하다.

근로자가 소득세법상 종신보험, 자동차보험 등 보장성보험에 가입한 경우 연말정산시 연간 100만원 한도 내에서 보험료의 13.2%에 해당하는 금액을 세액공제 받을 수 있다.

장애인전용 보장성보험의 보험료는 연 100만원 내에서 연말정산시 세액공제가 가능하다.

장애인을 피보험자 또는 보험수익자로 하는 장애인전용 보장성보험에 가입한 경우에는 연간 100만원 한도 내에서 다른 보장성 보험보다 더욱 유리한 수준인 납입 보험료의 16.5%를 세액공제 받을 수 있다.

연금저축보험(세제적격)의 보험료는 연 400만원 한도 내에서 연말정산시 세액공제가 가능하다.

연금저축은 소득세법시행령(제40조의2)에 따라 판매되는 은행의 연금저축신탁, 자산운용사의 연금저축펀드, 보험회사의 연금저축보험이 이에 해당된다.

소득세를 납부하는 근로소득자나 자영업자는 연금저축상품에 가입할 수 있다.

연 400만원 한도 내에서 납입한 보험료의 13.2%에 해당하는 금액을 연말정산시 세액공제 받을 수 있다.

퇴직연금(IRP)에 가입시 연 300만원까지 추가로 세액공제 혜택이 가능하다.

만약 연금저축 가입자의 연간 종합소득금액이 4000만원 이하이거나 근로소득만 있는데 총급여액이 5500만원 이하인 경우에는 세제혜택을 우대(13.2%→16.5%) 받을 수 있다.

연금저축보험은 세액공제의 장점이 있지만 향후 연금 수령시에 퇴직연금의 연금소득과 합산한 연금소득액에 대해 세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연간 연금소득이 1200만원 이하인 경우 5.5% 이하의 세율로 분리과세 되지만, 1200만원을 초과할 경우 다른 소득과 합산해 종합소득을 과세한다.

비과세 요건을 충족하는 저축성보험은 이자소득세가 면제된다.

연금보험(세제비적격), 변액유니버설저축성보험 등 소득세법상 비과세 요건을 충족하는 저축성보험에 가입할 경우에는 보험차익(=보험금-총납입보험료)에 대한 이자소득세(15.4%)가 면제받을 수 있다.

다만 소득세법에서는 보험유지기간이 10년 이상이고, 일시납 보험계약의 경우 1억원 이하의 보험계약, 월납 보험계약의 경우 보험료 납입기간이 5년 이상에 매월 납입보험료(=기본보험료+추가납입보험료)가 150만원 이하여야하는 등의 비과세요건을 두고 있어 이자소득세 감면을 위해서는 해당 요건을 고려해야 한다.

만 65세 이상 노인, 장애인 등은 비과세 요건이 덜 엄격한 비과세종합저축보험 가입이 가능하다.

만 65세 이상 노인, 장애인, 국가유공자 등이 1인당 5000만원 내에서 적립하는 저축성 보험에 가입한 경우라면 보험차익에 대해 비과세(이자소득/배당소득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단 은행 등 다른 금융기관이나 공제회의 비과세종합저축에 이미 가입한 경우에는 이를 모두 합산한 금액이 5000만원 이하여야 한다.

비과세종합저축보험의 가장 큰 장점은 일반 저축성보험의 비과세 요건과 달리 보험유지기간 등에 대한 제한이 없어 보험가입 후 10년 미만이라도 해지시 보험차익 비과세 혜택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조세특례제한법에 따라 비과세종합저축보험은 오는 2019년 12월31일까지만 판매될 예정이다, 가입을 위해서는 '비과세종합저축보험특약(제도성특약)'을 별도로 가입해야 하므로 보험회사에 가입 절차를 문의하면 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굿모닝경제 - 경제인의 나라, 경제인의 아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