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간 양극화 심화…청년취업난, 중소기업 인력부족 등 문제 초래

300인 이상 대규모 사업체 근로자의 월 임금이 300인 미만 중소규모 사업체 근로자의 2배에 달했다. 대규모 사업체 근로자와 중소규모 사업체 근로자의 월 임금은 각각 495만원과 251만원이었다. <한국고용정보원 제공>

[한국정책신문=김소희 기자] 중소기업 근로자의 임금이 대기업 근로자의 절반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8일 한국고용정보원의 '대규모 사업체와 중소규모 사업체간 시간당 임금 격차 분석'에 따르면 고용노동부의 2016년 고용형태별 근로실태조사 결과, 300인 이상 대규모 사업체 근로자의 월 평균임금 총액은 495만4000원이었다. 반면, 300인 미만 중소규모 사업체 근로자의 월 평균임금 총액은 대규모 사업체 근로자의 57%에 불과한 251만원이었다.

초과급여와 성과급을 제외한 월 정액급여는 대규모 사업체 근로자가 346만9000원인 데 반해, 중소규모 사업체 근로자는 대규모 사업체 근로자의 62.7%인 217만5000원으로 집계됐다.

사업체 규모별로 임금 격차는 금융위기 이후 심화됐는데, 실제로 대규모 사업체 대비 중소규모 사업체의 임금 수준은 2009년 56.0%에서 2015년 48.7%으로 줄었다.

시간당 임금의 경우, 중소규모 사업체 근로자는 9774원으로, 이는 대규모 사업체 근로자의 1만9237원의 50.8% 수준이었다.

김수현 한국고용정보원 인력수급전망팀 부연구위원은 "“대규모 사업체와 중소규모 사업체 간의 임금 지급 여력에 따라 임금 격차가 발생했다"며 "큰 임금 격차는 노동시장 내 임금 불평등과 양극화를 심화시키는 원인"이라고 꼬집었다.

특히, 김 부연구위원은 중소규모 사업체 근로자의 임금 수준이 현재와 같이 낮은 상태로 유지될 경우, 중소규모 사업체의 인력난이 심화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 부연구위원은 "저임금은 청년들이 중소규모 사업체 취업을 꺼리도록 하고, 이는 곧 중소규모 사업체의 인력부족 문제를 초래한다"며 "청년들이 노동시장 진출에 부정적인 인식을 하게 되면 청년고용문제 역시 더 심화되고 말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소비 확대를 통해 내수 진작과 경제성장을 꾀하는 소득주도 성장론 측면에선 대규모 사업체와 중소규모 사업체 간 임금 격차를 줄여야 한다"며 "중소규모 사업체의 임금 지급 능력을 향상시키고 적절한 보상체계를 구축할 수 있는 중소기업 육성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굿모닝경제 - 경제인의 나라, 경제인의 아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