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간 금리 역전 현상 가능성 있지만 1400조원대 가계부채 등 따져봐야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5월25일 오전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를 주재하고 있다. <뉴스1>

[한국정책신문=김희주 기자] 미국의 기준금리가 오는 12월 인상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한국이 기준금리(연 1.25%)를 올리지 않을 경우 한·미 간 금리 역전 현상이 벌어질 수 있는 상황이지만 한국은행은 신중한 입장이다. 

15일 금융권에 따르면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미국 경제전문가 59명을 대상으로 지난 6~10일 실시한 월간 여론조사 결과 95%(56명)이 올 12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인상을 전망했다.

앞서 지난달 조사에서 응답자의 75%가 12월 기준금리 인상을 예상했던 것보다 20%나 올랐다.

응답자들은 현재 연 1.00~1.25%인 연준 기준금리가 1.25~1.50%로 인상될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연준이 12월에 이어 내년 3월에도 추가로 기준금리 인상에 나설 것으로 내다봤다.

지난 11일(현지시간) 연준이 공개한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의사록에서도 다수 위원들이 연내 추가 금리 인상을 지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연준은 올해 3월과 6월 두 차례에 기준금리를 인상했다. 9월에는 기준금리를 동결했지만 4조5000억달러(약 5078조원)에 달하는 보유자산을 줄이기로 결정하면서 사실상 '통화 긴축'을 단행했다. 

연준은 이달과 다음 달 물가상승률을 예의주시하면서 12월 기준금리 인상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다.

연준의 '매파' 성향이 짙어지면서 한은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한은이 올해 안에 현재 연 1.25%인 기준금리를 올리지 않으면 한·미 간 금리 역전이 불가피하다. 이에 따른 외국인의 자금이탈도 우려된다.

한·미 간 기준금리가 역전된 2005년 8월~2007년 8월 국내 증권시장에서는 총 19조7000억원의 외국인 자금이 빠져나갔다.

하지만 국내 가계부채가 1400조원에 달하는 데다 경기회복이 더딘 탓에 신중한 입장이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지난달 21일 금리 역전 가능성에 대해 "일반적으로 대내외 금리 차가 확대되면 문제가 있지만 (통화정책은) 금리 차만 갖고 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골드만삭스와 씨티그룹 등 글로벌 주요 투자은행들은 한은이 기준금리를 내년 1분기에 올릴 것으로 예측했다.

오는 19일과 11월30일 올해 두 차례 금융통화위원회 회의가 남아있는 가운데 기준금리 인상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굿모닝경제 - 경제인의 나라, 경제인의 아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