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약 1개당 1조~3조원 소요…정부 연구개발비 전체 20% 수준으로 상향해야

제약사들이 하나의 신약을 개발하는 데 1-3조원 정도 투자하고 있는 가운데, 정부 역시 이들을 대상으로 한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관련해 업계에서는 정부지원의 규모가 적어 확대가 필요하다는 요구가 나오고 있다. <한국정책신문DB>

[한국정책신문=김소희 기자] 정부가 '글로벌 제약강국' 실현을 목표로 삼고 제약사의 신약후보물질 중 일부를 지원과제로 선정해 연구비를 지원하고 있지만, 업계는 아쉽다는 지적을 꾸준히 제기하고 있다.

2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범부처신약개발사업', '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사업', '바이오핵심기술개발사업(유망바이오IP사업화촉진사업)' 등 다양한 사업을 통해 제약사들의 신약개발 연구비를 지원하고 있다.

범부처신약개발사업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가 참여하는 국가 연구개발(R&D)사업이다. 2020년까지 글로벌 신약 10개 이상을 개발하고 해외시장을 겨냥한 신약 연구개발 투자전략 플랫폼을 선진화하는 것이 사업의 목적이다.

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사업은 혁신적 신약의 개발 과정 중 비임상·임상시험 단계별 집중지원으로 국내 제약사의 신약개발 성과를 내 제약바이오산업을 미래성장 핵심융합산업으로 육성하고자 하는 보건복지부 주관 사업이다.

바이오핵심기술개발사업은 대학 등이 보유한 잠재력이 높은 기술력과 향후 사업화(제품화)가 가능성이 높은 바이오 분야의 유망 지식재산(IP)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정부는 이러한 사업을 통한 지원으로 국내 제약사의 연구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국산 신약개발과 국내외 기술수출 성과를 창출함으로써 제약바이오산업을 육성하겠다는 계획이다. 이에 따라 정부가 세운 '2020년 세계 7대 제약강국' 실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기대하고 있다.

실제로 올해 3분기에만 JW중외제약, CJ헬스케어, 신풍제약 등이 각 주무부처와 연구 중인 신약 후보물질 지원협약을 체결했다.

JW중외제약의 아토피 피부염치료제 임상 후보물질인 'FR-1345'가 범부처신약개발사업 지원과제로 선정됐다. CJ헬스케어의 자가면역 염증질환 치료신약 'CJ-15314'는 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지원과제로, 신풍제약의 난치성 심혈관 질환 치료신약 'SP-8356'은 바이오핵심기술개발사업 지원과제로 각각 선정됐다. 이들 제약사는 정부로부터 3년에 걸쳐 총 30억원 정도 지원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업계는 정부의 지원이 부족하다는 의견을 꾸준히 제기하고 있다.

글로벌 제약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춘 혁신신약 하나를 개발하기까지 제약사가 투입하는 비용이 1-3조원에 달한다. 2016년 기준 투입된 연구개발비는 총 1조8834억원이었는데, 정부지원은 단 2354억원에 불과하다는 지적이다.

업계는 재정의 한계가 있기는 하나, 생색내기식의 지원보다는 신약개발하는 제약사나 연구소 등에서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지원이 필요하다고 요구하고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제약강국을 보면 신약개발 연구비의 20% 이상을 정부가 지원하고 있는데, 우리나라가 글로벌 제약시장에서 강국이 되려면 정부지원 확대는 필수적"이라며 "신약개발 과정 중 하나인 임상시험 비용의 세제혜택을 확대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굿모닝경제 - 경제인의 나라, 경제인의 아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