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제약사 '인공지능 플랫폼' 도입하나 국내사는 투자여력 부족

국내 제약업계가 4차 산업혁명에 맞춰 인공지능을 활용한 신약개발 플랫폼 마련 등에 분주한 모습이나 여전히 글로벌 제약업계보다는 뒤쳐진 상황이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제공>

[한국정책신문=김소희 기자] 국내 제약업계가 초연결·초지능 사회인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춰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신약개발에 집중할 전담팀을 설치하는 등 분주하지만, 글로벌 제약업계와 비교하면 뒤처진 모양새다.

6일 제약업계에 따르면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AI 신약개발 지원센터(가칭)' 설립을 위한 18개 제약사의 연구개발(R&D)기획팀 또는 신약개발 등 관련 업무자 20명으로 이뤄진 테스크포스(TF)를 구성했다. 빅데이터와 AI 기술 등을 접목한 신약 등을 개발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제약업계의 한 관계자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AI와 같은 신기술 활용이 산업발전의 열쇠를 쥐고 있다"며 "제약산업의 발전과 미래대비를 위해서는 신기술을 산업에 접목하고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것이 관건"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국내 제약업계의 대응은 글로벌 제약업계보다 뒤쳐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대형 제약사를 중심으로 신약 연구개발 투자규모를 늘리고 있지만 매출 규모 자체가 작아 투자여력이 부족하다는 지적도 뒤따른다.

글로벌 제약업계의 경우, 이미 전략적 제휴를 맺거나 AI 플랫폼을 도입하는 등 AI 신약개발을 가시화하는 사례가 점차 늘고 있다.

미국 화이자는 클라우드 기반 AI 플랫폼인 'IBM 왓슨'을 도입해 다양한 정보의 연결 분석과 객관적인 가설을 수립한 후 면역항암제 신약개발에 착수했다. 이스라엘의 테바는 AI를 이용해 호흡기·중추신경계 질환분석과 만성질환 약물 복용 후 분석과 신약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일본의 산텐은 'twpXar'의 'DUMA'라는 AI 신약탐색 플랫폼을 사용해 녹내장 신약개발에 나섰다. 독일의 머크도 'Atomwise'의 'AtomNet'을 이용해 암, 신경질환, 항바이러스제 등의 후보물질을 탐색하고 있다.

이에 대해 국내 제약업계는 국내 기업들이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는 AI 인프라를 필요하고, 정부의 지원이 절실하다고 주장한다.

배영우 제약바이오협회 R&D정책위원회 전문위원은 "신약탐색 분야에서의 인적·시간적·재정적 장벽을 짧은 시간에 극복하려면 상용화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AI 플랫폼을 활용해 국내 제약사들이 공용으로 AI를 사용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를 위한 보건의료 빅데이터 산업계 개방과 AI 신약개발 지원센터에 대한 정부의 지원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굿모닝경제 - 경제인의 나라, 경제인의 아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