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대 여자, 정부 기관 사칭에 많이 속아

<뉴스1>

[한국정책신문=온라인뉴스팀 ] 보이스피싱 피해가 해가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

올 상반기 보이스피싱 피해 금액은 월평균 173억원이다. 같은 기간 적발된 대포통장은 2만개가 넘었다.

금융감독원은 지난 1~6월 보이스피싱 피해금액이 총 1037억원에 이른다고 20일 밝혔다. 월평균 173억원으로 지난해보다 8.1% 증가했다.

유형별로는 대출 빙자형이 총 피해금 1037억원 중 740억원(71.3%)으로 많았고, 정부 기관 사칭형 등은 297억원(28.7%)이었다.

금감원 관계자는 “기존에는 검찰이나 금감원 등 정부 기관을 사칭한 수법이 많았지만 저금리로 대출을 해주겠다며 피해자를 속이는 '대출 사기형'이 많아져 피해 금액이 늘었다고 금감원 관계자는 전했다.

대출 사기형 비중은 지난 2015년 42.7%에서 2016년 69.9%, 2017년 71.3% 등으로 증가하고 있다.

상반기에 금감원이 적발한 대포통장은 2만981개였다. 월평균 3497개꼴로 지난해보다 10.0% 줄어든 수치다.

대포통장 발생 건수는 5만7299건(2015년), 4만6623건(2016년), 2만981건(2017년 상반기) 등으로 최근 3년간 매년 줄어드는 추세다.

금융기관별로는 은행과 상호금융 권역은 감시가 심해져 대포통장 건수가 지난해보다 각각 12.7%, 13.1%씩 줄었지만 새마을금고(7.1% 증가), 우체국(10.9%) 등 제2금융권에서는 되레 건수가 늘었다.

최근에는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 거래소 계좌로 피해금을 송금하도록 한 뒤 현금화하는 신종 사기 수법도 등장했다.

정부 기관 사칭형은 20~30대 여성, 대출 빙자형은 40~50대 남성이 주로 피해를 봤다. 정부 기관 사칭형 피해 3858건 중 20~30대 여성이 2002건(51.9%)으로 절반이 넘었다. 대출 빙자형은 1만7939건 중 6007건(33.5%)이 40~50대 남성이었다. 40~50대 여성도 4879건(27.2%)이나 됐다.

금융당국은 인터넷뱅킹이나 자동화기기(ATM)를 이용해 돈을 찾거나 보낼 때 목적을 확인하는 '예금지급 문진표' 제도를 오는 9월 중 도입하기로 했다. 또 피해 확산이 우려되는 신종 사례는 즉시 소비자경보를 발령하고 후스콜 등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으로 빠르게 전파할 방침이다.

저작권자 © 굿모닝경제 - 경제인의 나라, 경제인의 아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