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 뒤집어 보기]치매 치료제 개발 성공률 낮아...연구개발비 지원, 제도 마련 등 지원 요구

<픽사베이 제공>

[한국정책신문=김소희 기자] 국가가 치매를 관리하겠다는 '치매 국가책임제'의 도입을 앞두고 관련 업계는 치매 치료제 개발에 정부의 지원이 절실하다고 요구하고 있다.

국내 치매치료제 시장은 크게 '알츠하이머성 치매' 치료제와 '혈관성 치매' 치료제로 나눌 수 있다. 중앙치매센터의 분석결과, 알츠하이머성 치매 치료제가 71.5%, 혈관성 치매 치료제가 16.8%의 비율을 차지했다.

1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치매 치료제 국내 원외처방액은 2013년 1273억원에서 2015년 1784억원으로 증가됐다. 앞으로 치매 치료제의 원외처방액이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국내에 승인된 치매 치료제 성분은 △도네페질(대표제품 '아리셉트') △리바스티그민(대표제품 '엑셀론') △갈라타민(대표제품 '레미닐') △메만틴(대표제품 '나멘다') 등 4가지다. 이 중 도네페질 성분만 혈관성 치매 치료에도 처방 가능하다.

이들 치료 성분 모두 증상완화 효과만 있을 뿐, 치매를 근본적으로 치료하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 제약사는 물론, 글로벌 제약사들은 치매 치료제 개발에 몰두하고 있다. 거듭되는 실패에도 불구하고 인구고령화에 따라 치매치료제 시장의 성장잠재력이 매우 크기 때문이다.

국내의 경우, 알츠하이머성 치매 치료제 개발 임상시험만 진행되고 있다. 대표적인 후보군으로는 △퀸타일즈 'LY3314814' 임상 3상 △대화제약 'DHP1401' 임상 2b상 △젬백스앤카엘 'GV1001' 임상 2상 △일동제약 'ID-1201' 임상 2상 등이 있다.

<픽사베이 제공>

그러나 치매 치료제 개발은 성공률이 매우 낮다. 최근에는 임상 3상에서 실패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실정이다.

관련 업계는 치매 국가책임제 도입을 기점으로 치매 치료제를 개발하는 제약사나 연구소 등에 충분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제약업계 한 관계자는 "치매 치료제를 하나 개발하는 데 천문학적인 비용이 투입돼야 하는데, 부담되는 게 사실이다. 설령 비용을 마련했다고 해도 임상 3상 등에서 틀어지면 회사의 손실이 막대하다"며 "노인인구 증가는 치매 발병률 중가와 그에 따른 사회적 비용 증가로 이어진다. 정부에서 특히 많은 비용이 필요한 임상 3상 비용을 지원해주면 좋겠다"고 호소했다.

또 다른 관계자도 "환자는 늘어나지만 치료할 약이 없다고 하면 비판이나 비난은 제약사가 받는다. 제약사들도 개발하고 싶지 않아 방치한 것이 아니라, 개발하기 너무 어렵기 때문에 못하는 것이다. 정부가 치료제 개발의 성공률을 높일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일각에서는 치매 국가책임제가 치매 치료제 개발의 전환점이 될 수 있을 것이라는 평가도 나오고 있다.

이수진 연구성과실용화진흥원 선임연구원은 "치매 국가책임제가 시행되면 전국 보건소 252개소에 치매안심지원센터를 확충하는 등 노인인구 증가로 인한 치매 치료제 개발도 활성화될 것으로 보인다. 치료제 개발 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타킷 선별기술에 대한 수요도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굿모닝경제 - 경제인의 나라, 경제인의 아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