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사 대응에 주가 향방 달려…투자 심리 호전 기대감도

23일 서울 영등포구 테크노마트 휴대폰 매장에 이동통신사 3사 KT, SK, LG 브랜드 마크가 보이고 있다. 취약계층 통신비 월 1만1000원 감면, 2만원대 보편요금제 출시 등이 포함된 새 정부의 가계통신비 절감 대책이 발표됐지만 여전히 논란이 뜨겁다. 가장 첨예한 갈등사안이었던 이동통신 기본료 폐지는 담기지 않았지만 통신업계는 기업의 자율성이 침해될 우려가 크다며 반발하고 있다. <뉴스1>

[한국정책신문=김희주 기자] 문재인 정부의 통신비 인하 압박에도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통3사의 주가는 여전히 '매력적'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대다수 전문가들은 이통3사의 실적 감소가 불가피하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지만 일각에서는 정부의 통신비 정책에 대응하는 통신사 태도에 향후 주가 향방이 달려있다는 전망이다.

특히 이통3사가 정부를 상대로 소송전에 돌입할 경우 인식의 전환 계기로 오히려 투자 심리가 호전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27일 한국거래소와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6000원(2.33%) 오른 26만4000원에 거래를 마쳤다. KT도 350원(1.1%) 상승한 3만2150원, LG유플러스는 250원(1.49%) 오른 1만7000원에 장을 마감했다.

앞서 새 정부의 통신비 절감 대책 발표 이후 금융투자업계에서는 통신3사를 둘러싼 규제 리스크가 수익성 악화에 영향을 끼질 것이라고 보는 시각이 지배적이었다.

대선 후보 당시 문재인 대통령이 내놓은 1만1000원 기본료 폐지라는 최악의 상황은 피했지만 선택약정할인율 상향(20%→25%), 보편요금제 출시 등으로 매출 감소는 불가피해졌기 때문이다.

안재민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선택약정요금 할인율이 5%포인트 인상되고, 현재 20% 초반 수준인 이통 3사의 선택약정 가입자 비중이 35%로 확대될 경우 이통3사 매출은 4079억원 감소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SK텔레콤이 2002억원 수준으로 가장 타격이 크고 KT 1172억원, LG유플러스 904억원 가량 매출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선택약정할인율 인상에 따른 통신 매출 감소 영향.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선택약정할인율이 상향되면 이통사로서는 실적 감소를 우려할 수밖에 없는 것이 사실이다.

이통사와 제조사가 함께 부담하는 지원금 대신 이통사가 전액 부담하는 선택약정으로 가입자들이 몰릴 수 있기 때문이다.

취약계층 통신요금 지원 확대와 2만원대 보편요금제 도입도 이통사들에게는 부담이다. 취약계층 329만명에 대한 기본료 면제로 이통3사 매출은 총 5173억원가량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지수 메리츠종금증권 연구원은 "이통사들의 수익성 악화는 불가피하다"며 "사회 취약계층에 대한 기본료 폐지와 선택약정할인율 추가 5% 상향에 따른 기회비용 손실이 약 1조원에 달한다. 보편요금제 도입도 아직 효과를 가늠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 같은 실적 감소 우려에도 통신주 전망을 낙관적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과거와 달리 이통3사가 정부의 요금 인하 압박에 무조건적인 수용 태도를 보이지 않는데다 수용하더라도 앞으로의 실적 흐름이 바뀌진 않을 것이라는 판단이다.

특히 만약 이통3사가 정부를 상대로 집행정지 가처분 신청을 내고 소송전에 돌입할 경우 인신 전환을 계기로 오히려 투자자들의 투자 심리 호전이 기대된다는 설명이다.

김홍식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선택약정요금할인 폭 상향 조정, 보편적 요금제 출시는 법적 논란거리가 될 가능성이 높다"며 "정권 초기 이벤트로 끝날 공산이 크다. 통신주 향방은 통신사 경영진의 대정부 스탠스에 달려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10여년간 투자가들의 머리 속엔 정부가 하라고 하면 국내 통신사들은 어쩔 수 없이 따를 것이란 인식이 근본적으로 통신주를 기피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며 "이런 상황에서 국내 통신 3사가 정부를 상대로 강하게 법적 시비를 가려본다면 인신의 전환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굿모닝경제 - 경제인의 나라, 경제인의 아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