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 시대, 주입식·암기식 교육 벗어나야"

지난해 7월 서울 은평구 신도고등학교에서 학생들이 전국연합학력평가를 치르고 있다. <출처=포커스뉴스>

[한국정책신문=노호섭 기자]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과학 성적은 세계적으로 높은 수준이지만 이들 과목에 대한 흥미도는 크게 떨어진다는 분석이 나왔다.  

13일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은 '제4차 산업혁명이 요구하는 한국인의 역량과 교육 개혁'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OECD(경제협력개발기구)에서 시행하는 국제학업성취도평가(PISA)에 따르면 2015년 우리나라 학생의 과학 성적은 일본·에스토니아·핀란드·캐나다에 이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다섯 번째로 높았다. 반면 과학에 대한 '흥미도'는 26위로 OECD 평균값을 한참 밑도는 수준이었다. 

OECD 국가 중 우리 학생들과 과학 성적이 비슷한 캐나다(성적 4위, 흥미도 3위)와 뉴질랜드(성적 6위, 흥미도 12위) 학생들의 경우 흥미도는 OECD 평균 이상으로 우리보다 높았다. 과학에 대한 흥미도 뿐 아니라 '즐기는 정도' 역시 우리나라는 27위로 OECD 평균 이하 수준을 보였다.

수학의 경우에도 2012년을 기준으로 OECD 국가 중 우리나라가 가장 성적이 높았지만, 흥미도는 28위로 과학과 마찬가지로 OECD 평균에 미치지 못했다.

OECD 비회원국을 포함한 전체 분석대상 국가(65개국) 중에서 수학 성적과 흥미도가 모두 상위권인 국가는 싱가포르(성적 2위, 흥미도 4위)로 조사됐다.

보고서를 집필한 이주호 KDI 국제정책대학원 교수는 "학습에 대한 흥미와 즐거움이나 성취동기와 인내력은 평생학습자로서 자기주도 학습역량과 밀접하게 연관돼 있다"며 "분석결과는 우리나라 학생들이 자기주도 학습역량을 제대로 갖추지 못했다는 방증"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학생들이 평생 동안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역량을 길러주는 교육이 더욱 중요해질 것"이라며 "주입식·암기식 교육에서 탈피해 프로젝트학습과 수행평가와 같은 새로운 교수학습방식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굿모닝경제 - 경제인의 나라, 경제인의 아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