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적자금이 투입돼 KDB산업은행 등 채권단 관리체제로 유지되고 있는 대우조선해양의 매각작업이 한국조선해양으로 인수·합병(M&A) 직전까지 갔으나 시장 독과점을 우려한 유럽연합(EU)의 반대로 지난 1월 무산됐다. 이로 인해 대우조선해양의 주인 찾기가 다시 미궁 속으로 빠져들었다.

시가총액 2조원이 넘고 조 단위 부채까지 안고 있는 대우조선해양을 인수할 수 있는 기업이 쉽게 나타나지 않고있다.

대우조선해양은 2015년 이후 7조원에 달하는 공적자금을 수혈 받으며 버티고 있다. 올해에는 수주가 늘며 조선업이 호황을 맞고 있지만 업계 특성상 언제까지 호황이 이어질지 알 수 없다.

업계는 대우조선해양의 저가 수주로 인해 사실상 수주를 받는 만큼의 손실이 일어날 것을 우려하고 있다. 다른 조선소의 경우 대우조선해양 가격에 맞추어 입찰에 나서 수주를 하더라도 이익이 남지 않는다고 불편함을 토로하고 있다. 

이는 대우해양조선은 손실이 발생해도 공적자금 지원을 통해 보전되기때문에 부담없이 저가 입찰로 수주를 따낼수 있어 기울어진 운동장에서 경쟁하고 있다는 것이다. 

조선업계는 정상적인 이익 실현 구조를 만들기 위해서도 대우조선해양의 매각이 필요하다며 이에 대한 대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얘기하고 있다. 

대우조선해양을 국내 조선사가 인수하는 것은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시장 독과점을 우려한 EU가 기업결합을 허가하지 않아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해외시장에서 활동 중인 국내 기업이 다른 기업을 인수하거나 합병할 경우엔 관련 해외 경쟁당국의 기업결합 심사 승인을 필수적으로 받아야 한다. 독과점 문제가 해소되지 않을 경우에는 기업결합 자체를 승인하지 않기도 한다.

결국 국내에서 조선사가 아닌 해외 조선사가 인수하는 것이 대안이지만 이는 대우조선해양이 군함, 잠수함을 건조하는 방산업체라서 기술 유출 우려가 커 대안에서 배제돼 매각이 쉽게 성사되지 못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대우조선해양을 일괄 매각은 불가능하다고 판단하고 있으며 이를 군수와 민자로 나눠 분할 매각을 하는 방법에 대해 고민해 봐야한다는 얘기들이 나오고 있다.

이럴 경우 군수는 방산에 집중하고 있는 한화가 주도적으로 인수에 나서고 민자는 해외 조선사가 인수할 경우 서로의 부담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업계에서는 한화가 화약과 자주포등 방위사업을 국내에서 가장 많이 하고 있어 군함 및 잠수함 건조까지 아우르면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조선업계에서는 대우조선해양 매각이 여러 가지 여건상 쉽지 않지만 분리매각을 하면 부담도 줄어들고, 각자 자기가 주력으로 하는 분야에서 전문성을 갖고 있기에 향후 가능성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조선업계의 정상화와 시장 자율 경쟁이 될 수 있도록 정부 차원에서 대우조선해양 분리 매각을 충분히 검토해 봐야 할 것이다.

굿모닝경제 노진우 기자 

저작권자 © 굿모닝경제 - 경제인의 나라, 경제인의 아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