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자산의 양적·질적 위험 증가…외부 요인도 부담

[자료=각 사]
[자료=각 사]

[굿모닝경제=김진솔 기자] 카드사들의 건전성 지표인 1개월 이상 연체율이 0.8%대로 급락했지만 부실 우려는 점점 커지고 있다.

은행 중심 총량 규제와 개인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도입 등으로 풍선효과가 커지는 가운데 코로나19 금융지원 종료, 금리 인상 등이 다가오기 때문이다.

3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실적을 발표한 신한·삼성·KB국민·우리·하나카드 등 5개 카드사의 6월 말 기준 평균 연체율은 0.86%다.

이는 코로나19가 본격적으로 확산하기 전인 지난해 3월 말(1.38%) 대비 대폭 개선된 수준이다.

카드사별 연체율 감소폭은 하나카드가 1.71%에서 0.85%로 가장 컸다.

신한카드와 우리카드의 연체율도 각각 1.35%, 1.34%에서 0.85%로 개선됐다.

연체율을 비교적 잘 관리해 온 삼성카드는 1.24%에서 0.91%로 줄였으며 국민카드도 1.24%에서 0.82%로 감소하며 가장 낮은 연체율을 기록했다.

문제는 카드사의 낮은 연체율이 높은 건전성을 담보하지 못하는 착시효과에 불과하다는 점이다.

이혁준 나이스신용평가 금융평가본부장은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경기침체로 연체율 상승 우려가 있었으나 은행권을 중심으로 한 신규 대출 확대, 한계차주에 대한 원리금 만기연장 등 대규모 금융지원조치에 힘입어 실물경제 충격 대비 자산건전성 지표가 유지된 것으로 보인다"고 해석했다.

이에 이 본부장은 "만기연장을 포함한 금융지원조치가 종료되면 자산건전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사진=Pixabay]
[사진=Pixabay]

실제로 카드사들은 연체율 등을 기준으로 적립하는 대손충당금이 실물경제를 반영한 감독기준보다 부족할 때 적립하는 대손준비금을 5배나 늘렸다.

지난 1분기 중 현대·롯데카드를 포함한 7개 전업 카드사의 3개월 이상 연체채권(고정이하여신) 규모가 120억원이나 증가하기도 했다.

코로나19 금융지원 종료가 다음달 말로 다가온 가운데 금융당국의 은행 대출 규제 강화 방침에 따른 풍선효과와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예고도 우려를 더했다.

여윤기 한국신용평가 수석연구원은 "가맹점수수료율 인하로 결제부문의 수익성이 저하됨에 따라 대출자산 취급 확대 유인은 어느 때보다 높은 상황"이라며 "카드대출 뿐 아니라 자동차할부금융, 중도금·전세자금대출, 비회원 대상 가계대출 등 취급하는 대출상품의 영역도 확장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신규 대출상품의 경우 장기간 취급하면서 누적된 회원 데이터를 기반으로 우수한 리스크관리가 이뤄지는 카드대출과 성격이 상이하기 때문에 유사 시 적절한 리스크 관리에 대해 불확실성이 존재한다"며 "가계지표 저하 등 외부환경이 비우호적으로 조성되는 점도 부담 요인"이라고 우려했다.

저작권자 © 굿모닝경제 - 경제인의 나라, 경제인의 아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