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모닝경제=전현지 기자] 최근 환경 규제가 강화되면서 글로벌 조선업계와 해운업계가 모두 LNG선에 주목하고 있지만 국내 해운업계는 여전히 저유황유 사용과 스크러버(탈황설비) 설치 등의 임시방편으로 대응하고 있다. 

환경 규제 시행 초기에는 많은 선박들이 황산화물 함유량이 낮은 저유황유 사용이나 탈스크러버를 설치로 대응했던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저유황유는 가격 리스크가 상당히 크고 스크러버는 완전한 친환경 장치로 볼 수 없다는 지적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개방형 스크러버의 경우 해수로 정화시킨 후 해당 물질을 바다에 배출시켜 새로운 오염 물질을 만들어 낸다는 문제가 있어 일부 국가는 개방형 스크러버의 사용을 중지하거나 중지를 검토하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해운업계에는 LNG추진선이 장기적인 환경 규제를 충족시킬 수 있는 이상적 방안으로 평가되고 있다. LNG는 기존 벙거C유 대비 황산화물 90%이상, 질소산화물 80%이상, 이산화탄소는 15% 이상 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

조선·해운 분석기관인 클락슨에 따르면 LNG추진 방식의 선박 발주량은 전체 발주량의 17%로 전년보다 10%나 증가했으며 앞으로 글로벌 LNG 추진선 발주량의 증가폭은 더욱 커질 것으로 관측된다.

하지만 국내 해운사들은 여전히 LNG선 발주를 망설이고 있다. LNG 충전 인프라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국내 주요 항만에 LNG 벙커링 능력을 확대하겠다고 밝혔지만 여전히 미흡한 상황이다.

해운업계 관계자는 “한국과 아시아권에 LNG 연료를 충전할 곳이 별로 없다”며 “언제 어디서 연료를 공급받을 수 있느냐 문제도 운임비에 상당한 영향을 줄 수 밖에 없는데 현재는 인프라가 부족해서 부담이 크다”고 말했다.

수소차와 전기차를 대중화시키려면 충전인프라 확충이 필수다. LNG벙커링 문제가 해소돼야 국내 해운업계도 LNG 추진선이라는 해운시장 추세에 발 맞춰 갈 수 있다. 너무 늦지 않도록 정부 차원의 지원이 절실하다.

저작권자 © 굿모닝경제 - 경제인의 나라, 경제인의 아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