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책신문=이지우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한 달 넘게 이어지면서 '마스크'는 외출할 때 필수품이 됐다. 수요가 폭증하면서 공급이 이를 감당하기 어려운 지경에 이르고 '마스크 대란'은 전국 곳곳에서 일어나고 있다.

이미 지난달 초부터 마스크 대란은 예견됐다. 당시 코로나19는 현재와 같은 심각한 단계가 아니었음에도 서울 명동 거리에는 외국인들이 마스크를 커다란 상자나 여행용 가방에 쓸어담은 채 들고 다니는 모습을 쉽게 발견할 수 있었다.

이때 출근길에 보인 한 약국에선 아침에 마스크를 상자째 나르면서 한쪽에선 외국인들에게 마스크를 제한 없이 판매하고 있었다.

한 달 만에 상황이 역전됐다. 정작 국민들이 사용할 마스크가 동이 난 것이다.

이미 한 달여 시간동안 곳곳에서 마스크 사재기가 버젓이 일어나고 매점매석이 활개치면서 시장에 마스크 재고가 바닥난 상황에서 정부는 뒤늦게 대책 마련에 들어갔다. 

그 결과 지난 5일 정부는 '마스크 수급 안정화' 대책을 발표했다. 수출을 원칙적으로 차단하는 등 전(全) 유통과정을 정부가 사실상 100% 관리한다고 밝혔다. 또 1주에 1인당 2매라는 '구매제한'과 요일별 구매로 '마스크 5부제'도 실시한다고 전했다.

이러한 내용은 현재 '공급량이 부족한 상황'에서 '공평한 보급'을 위해 정부가 제시할 수 있는 가장 최선의 대책이겠지만 이 또한 마스크 대란을 잠재울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조금이라도 더 일찍 정부가 마스크 유통체계를 관리했더라면 전 국민이 '기본' 예방물품인 '마스크'를 구입하지 못해 전국 곳곳에서 혼란이 발생하는 상황은 벌어지지 않았을 것이란 생각이 든다.

결국 공급량 부족의 근본적인 원인이 '늑장 대응' 때문이라는 비판은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중국과 가까운 나라 중 한 곳인 대만에선 '마스크 대란'이 일어나지 않았다고 한다. 이유는 대만 정부가 첫 확진자가 나온 이후 일주일만에 마스크 수출을 금지했기 때문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 © 굿모닝경제 - 경제인의 나라, 경제인의 아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