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1단계 무역협상 타결로 점유율 개선 불투명

[한국정책신문=황윤성 기자]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UN 무역통계를 활용해 2010년부터 2019(1~11월)년까지 중국 전체 수입시장 점유율을 분석한 결과 중국시장 진출이 더욱 어려워질 것이라고 18일 밝혔다.

한국의 중국시장 점유율은 2015년 10.4%를 정점으로 지난해 8.5%로 줄었다. 중국 정부의 ‘중국제조2025(자국기업 경쟁력 강화 지원)’ 시행으로 2015년 대비 작년 일본, 미국, 독일 시장점유율도 각각 0.2%p, 2.9%p, 0.8%p 감소했다.

중국시장에서 각국의 위상 변화를 알 수 있는 중국 내수용 수입시장 시장점유율 추이를 살펴보면 한국은 2016년 7.9% 최고점을 기록한 후 2018년 5.4%로 2.5%p 하락했다.

 

재중 한국기업의 투자액 대비 매출액 추이도 2013년 7.3배를 정점으로 2017년 4.5배까지 하락했다. 영업이익률도 2013년 4.9%에서 2017년 3.8%로 감소했다. 전기전자, 자동차 분야는 작년까지 반도체 단가급락, 스마트폰과 승용차 판매부진이 지속돼 시장점유율이 크게 하락했다.

올해 1월 미중의 1단계 무역협상 타결에 따라 향후 미국기업의 중국 수입시장 접근도가 개선되면서 한국기업의 점유율은 지속적으로 하락할 전망이다. 전경련은 중국 수입시장에서 미국의 시장 점유율은 공산품 외에도 농산품, 에너지, 서비스 품목에서도 확대될 예정으로 국내 기업의 중국시장 공략은 어려워질 것이라 관측했다.

엄치성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중국은 작년 말 1인당 GDP 1만달러 시대에 접어들어 내수시장 개방을 확대하고 있다”며 “국내 기업들이 이를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 중장기 전략을 재설정하고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글로벌 공급 체계 검토의 필요성이 제기됐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굿모닝경제 - 경제인의 나라, 경제인의 아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