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이션 동학 구조적 변화·시사점 면밀 점검 계획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사진=한국은행 홈페이지 캡처>

[한국정책신문=강준호 기자]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경제구조의 변화로 통화정책의 파급경로가 달라졌다고 밝혔다. 

이주열 총재는 지난 17일 기자간담회에서 "경기와 물가 간의 상관관계가 약화됐다는 연구결과가 꾸준히 제시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총재는 "경제구조 변화는 통화정책의 파급경로와 효과가 과거와 달라졌을 가능성을 의미한다는 점에서 물가 안정을 중요한 목표로 하는 중앙은행 입장에서 큰 고민"이라고 말했다.

한은은 이날 발표한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보고서에서 "금융위기 이후 주요국에서 물가상승률이 물가안전목표를 밑도는 저인플레이션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며 "인플레이션 동학의 구조적 변화와 그 시사점에 대해 면밀힌 점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은은 저인플레이션 상황에서 기업의 가격조정형태 변화를 분석해 들었다.

기업의 가격조정형태는 인플레이션 수준에 따라 차이가 나는데 기업들은 비용 상승 등의 가격인상 요인이 발생할 경우 물가상황 및 경쟁환경 등을 고려해 가격 조정빈도나 폭을 차별적으로 결정하는 경향이 있다.

2014년 1월부터 올해 9월까지 판매업소별로 조사된 150개 생필품의 판매가격을 분석한 결과 최근 저인플레이션 상황에서 기업의 가격 조정폭은 켜졌으나 조정횟수는 점차 줄어드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한은은 판단했다.

한은은 "이는 기업이 비용상승 등의 가격인상 요인을 가격에 곧바로 반영하지 않고 미루다가 가격 조정 시에는 한 번에 큰 폭으로 조정하는 경향이 있음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물가상황이 기업의 가격조정형태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은 경기와 물가간 관계의 변화가 진행되고 있을 가능성을 보여주는 미시적 사례"라고 덧붙였다.

한편 한은은 이날 보고서에서 올해 저물가가 지속된 배경에 대해 "올해 들어 수요측 물가압력이 약화된 가운데 공급요인과 정부정책 측면에서 물가하방 압역이 확대된 데 기인한다"고 설명했다.

향후 소비자물가 상승률에 대해서는 "당분간 성장세 회복의 모멘텀이 강하지 않고 정부의 복지정책 기조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향후 이러한 요인의 영향이 줄어들면서 점차 높아지겠지만 목표수준으로 수렴하는 속도는 완만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은은 이러한 점을 감안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중기적 시계에서 목표수준에 수렴할 수 있도록 통화정책의 완화기조를 유지할 방침이다.

한은은 지난 7월과 10월 국내경제의 성장세 둔화, 물가상승압력 약화 등을 감안해 기준금리를 각각 0.25%포인트 인하했다.

올해 1~11월 중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년 동기대비 0.4%로 물가안정목표(2.0%)를 크게 밑돌았다.

한은은 내년과 2021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각각 1.0%, 1.3%로 점차 높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저작권자 © 굿모닝경제 - 경제인의 나라, 경제인의 아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