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사고 26건 중 14건 LG화학 난징공장 생산 초기 모델…성윤모 "리콜 대상 아냐"

지난달 강원도 평창군 미탄면 평안리 소재 풍력발전소 배터리실에서 화재가 발생한 모습. <뉴스1>

[한국정책신문=한행우 기자] 국내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 사고 가운데 절반 이상이 LG화학의 특정 시기 생산 배터리를 사용한 곳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7일 더불어민주당 이훈 의원실 자료에 따르면 2017년부터 발생한 국내 ESS 화재는 26건으로 이 중 14곳에 LG화학 제품이 쓰였다. 삼성SDI 제품을 사용한 곳은 9곳, 나머지 3곳은 인셀 등 군소 업체 제품을 사용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문제가 된 LG화학 배터리는 모두 중국 난징공장에서 2017년 생산된 초기 제품으로 확인됐다. 정부의 대책 발표 이후 불이 난 3곳 중 2곳도 같은 LG화학 배터리를 썼다. 

지난해 12월27일 전문가 19명으로 구성됐던 조사위도 LG화학 일부 셀에서 극판 접힘, 절단 불량, 활물질 코팅 불량 등의 제조 결함을 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5개월간의 조사 끝에 해당 배터리를 화재의 ‘직접 요인’으로 지목하지는 않았다. 

결함을 모사한 셀로 충·방전 반복 시험을 180회 이상 반복했지만 자체 발화로 이어질 수 있는 배터리 셀의 내부 단락(합선 등의 이유로 과다한 전류가 흐르는 현상)은 없었다는 이유에서다.

이 과정에서 민·관합동위 위원들 사이에 LG화학 배터리에 대해 정부 차원에서 리콜을 요구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었던 것으로 뒤늦게 알려졌다. 

그러나 7일 진행된 ‘ESS 화재’ 관련 국감에서 정부는 LG화학 측에 배터리 리콜을 요구했다는 일부 보도에 대해 부인했다.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이날 열린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정부가 LG화학의 배터리 리콜을 요구했느냐”는 이용주 무소속 의원의 질문에 대해 “ESS는 하나의 제품이 아니고 배터리, PCS(전력변환장치), 소프트웨어 등 복합제품인 만큼 법적으로 리콜대상이 아니”라고 설명했다.

성 장관은 “제조사가 판매한 ESS 화재에 따른 사후적인 관리를 실시한 것이 국민의 이해를 돕기 위해 리콜이라고 불린 것 같다”며 “정부는 리콜제도를 마련하고 법적인 조치를 할 수 있지만, ESS는 리콜 대상이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LG화학의 해당 배터리를 쓴 ESS는 전국에 200여곳 정도이며 해외 설비까지 고려하면 교체 비용은 1500억원 상당으로 추산된다. LG화학은 자체 정밀실험에 착수했고, 원인분석을 더 꼼꼼히 하겠다는 입장만 밝힌 상태다. 

이훈 의원은 “관련 화재가 재발할 때마다 국가경쟁력과 기업 신뢰는 무너질 것”이라며 “특정시기 생산된 관련 배터리가 전국에 198개소나 더 있다. 지금이라도 자발적인 리콜을 진행하는 것이 당장의 손해보다 미래의 신뢰와 세계시장을 점유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굿모닝경제 - 경제인의 나라, 경제인의 아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