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화학·섬유·공작기계·자동차부품 관련 중소기업 300개사 대상 조사 결과 절반 이상이 준비 안돼있어

<뉴스1>

[한국정책신문=한행우 기자] 일본에서 전략물자를 수입하는 국내 중소기업 절반 이상이 일본의 경제보복에 아무런 대응책을 세우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일정량의 재고를 확보한 기업 10곳 중 6곳도 일본의 화이트리스트 배제 조치가 본격적으로 시행되면 1년 이내에 피해를 볼 수 있다고 응답했다. 

중소기업중앙회(회장 김기문)는 일본제품을 수입하는 중소기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긴급 실시한 ‘일본 정부의 화이트리스트 제외 영향에 대한 중소 수입업체 의견조사’ 결과 이들 중 52.0%가 일본의 경제보복 조치와 관련해 별도의 대비가 전혀 돼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13일 밝혔다.

실태조사 대상은 일본 수입액이 연간 100만달러(약 12억원) 이상인 △반도체 △화학 △섬유 △공작기계 △자동차부품 제조업 관련 중소기업들이다. 

일본 경제보복에 ‘별도의 준비를 하고 있다’고 응답한 기업은 48%였지만 그 중 ‘모든 대응책이 준비됐다’고 답한 기업은 1%에 불과했다. ‘대부분 준비돼 있다’고 답한 기업은 8.6%에 그쳤다. 

일본 경제보복에 대한 대응책은 주로 ‘재고 확보’라는 소극적 방안이 대부분이었다. 

중소기업 절반 가까이(46.5%)가 대응책으로 ‘재고분 확보’를 꼽았다. 대(對)일본 거래축소 및 대체시장 발굴을 준비하는 기업은 31.3%였으며 기술개발 등 경쟁력 강화에 나선 기업은 15.3%에 그쳤다. 국산화를 진행하고 있다고 답한 기업은 6.9%에 불과했다.

화이트리스트 제외 발효시 기업경영에 영향을 받는 중소기업은 67.3%로 조사됐으며 영향을 받는 시기는 3개월 이내 36.3%, 4개월~1년이내 26.7%, 1년 이후 4.3%로 나타났다.

일본 의존도가 높다는 점도 고민거리다.

이번 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총 수입액 대비 일본 수입액 비중이 ‘60~80% 미만’이라고 답한 곳은 전체의 36.3%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80~100%를 차지한다’는 응답 역시 24.3%로 높게 나타났다.

다시 말해 일본 수입기업 10곳 중 6곳이 전체 수입액 중 60% 상당을 일본에 의존하고 있다는 얘기다.

일본과의 무역전쟁과 관련해 정부가 우선 추진해야 할 분야로는 ‘일본과의 외교적 해결 및 국제공조 강화’라는 답변이 44.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업피해 최소화 및 공정환경 조성’이 34.3%, ‘소재·부품·장비산업 경쟁력 강화’가 21.0% 순으로 조사됐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이번 조사의 후속조치로 8월 중 정부가 중점 육성코자 하는 100대 품목을 포함해 전 소재·부품·장비 생산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대기업과의 공동기술개발 수요를 파악하고 발굴된 중소기업과 관련 대기업과의 매칭을 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구매 조건부 기술개발제도 활성화를 위해 소재·부품·장비의 국산화, 소재·부품·장비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과제 발굴 및 건의도 지속 추진할 예정이다.

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장은 “그동안 중소기업이 어렵게 기술개발을 하더라도 대기업이 구매를 하지 않아 많은 기술이 사장되어 왔다”며 “앞으로 중앙회가 우수 소재·부품·장비 중소기업을 발굴하고 이를 대기업에 매칭하는 적극적인 역할을 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굿모닝경제 - 경제인의 나라, 경제인의 아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